부산지방해양수산청(청장 강용석)과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강준석)는 항만 연관산업 중 하나인 해상운송용 컨테이너 수리업계 고충사항 개선을 위한 업계 간담회를 5일 부산항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컨테이너 수리업계 및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선사 및 관련 협회 관계자 등 약 40여명이 참여하여 컨테이너수리업 관련 고충 및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부산항만산업협회에 따르면 부산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상운송용 컨테이 너 수리업체는 약 40여곳에 이르며 이들 대부분이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작업장을 마련하여, 선사와의 계약을 통해 터미널 내로 반입되는 공컨테이 너의 상태 검사 및 수리?세척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업계는 수리 요율의 현실화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위치한 수리장의 임대료 인하 등 수리업계가 겪고 있는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방안 등을 요구했다.
특히,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부대조항 시행 후 화물차주가 검사를 위해 컨테이너 문을 개방하는 것이 금지됨에 따라, 수리업체의 늘어난 업무 부 담 대비 인력은 부족해서, 장기화될 경우 근로자의 안전 문제와 직결된다 는 점을 호소하며, 인건비 등 비용 보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선사, 터미널 운영사, 컨테이너수리업계 간 상호 계약 사항에 따라 업무 범위, 검사비용이 정해지므로 추가 협의가 필요할 수 있으나, 「항만안전 특별법」(‘22.8월 시행) 및 「중대재해처벌법」(’22.1월 시행) 등의 시행 을 앞두고 있어,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것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 하고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상호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이민석 항만물류과장은 “안전 관련 이슈 등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비용 증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고, 문제 해결에 앞서 서로가 공생관계에 있다는 점을 유념해 달라”며, “항만연관산업의 지 속적 발전을 위해 항만당국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라고 했으며,
부산항만공사 김춘현 운영본부장은 “앞으로 부산항 항만연관산업의 경쟁 력을 높이고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업계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항만공사 차원의 노력 및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붙 임 : 관련사진 3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