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부산항만공사 로고 이미지

사이트맵

KR EN
페이스북 아이콘 인스타그램 아이콘 유튜브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
Global Hub Port

보도자료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이**
전화번호 :
담당부서 :
조회수 아이콘 512
2021-10-12 10:39:07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보도자료

배포일시 : 2021.10.12.(화) 총 5매(본문 2, 참고 3)

담당부서 : 물류연구실

담당자 : 실장 연정흠, 대리 안두영 ☎ (051) 999-8570, 8573

BPA, 로봇이 탑재된 항만전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착수

- 중소벤처기업부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 과제에 선정, 부산?경남지역 기업들과 함께 부산항의 특수한 환경에 적합한 드론 스테이션을 2023년까지 개발 -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강준석)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한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공동투자형 과제’에 『항만시설관리를 위한 로봇 자동화 기반 무인항공체 스테이션 개발』사업이 선정되었다고 12일 밝혔다.

개발기간은 총 3년으로 사업비 약 7억원은 중기부와 BPA가 공동 투자한다. 컨소시엄 주관사인 SH로보틱스는 부산시가 영도에 조성?운영 중인 ‘해양 산업 창업아지트’의 입주기업이며, 창원대학교가 위탁기관으로 참여한다.

부산항은 관리시설의 면적이 다른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넓어 상용 드론의 배터리 용량으로는 비행시간 부족(약 40분)하고 배터리 교체?충전?점검 등 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조종인력이 직접 항만현장을 방문해 점검작업을 해 야 하는 등 드론 운용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BPA가 부산?경남지역 기업들과 함께 부산항의 특수한 환경에 적합한 드론 스테이션의 핵심 기능과 적용 기술, 운용방안 등을 개발하는 R&D 과제를 기획했다.

본 과제에서는 스테이션에 로봇 기술을 적용, 드론의 이?착륙을 무인 원격 으로 유도하고, 배터리 교체?점검?충전 등을 자동화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드론이 최상의 상태로 운용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로봇기반 스테이션은 총 2기가 개발되어 북항과 신항에 설치되고, 무인 원격 드론이 촬영한 항만시설물 영상정보는 드론 스테이션에서 LTE/LORA 망을 통해 BPA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BPA는 무인 원격 드론 운용체계 도입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수역시 설과 항만건설 현장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을 강화하고, 항만시설물 유지보수 관리에 철저를 기해 사회·경제적 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PA 강준석 사장은 “무인 자동화, 로봇, IoT 융합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에 맞는 다양한 R&D사업을 추진해 부산항을 세계적인 스마트 항만으로 육성하고, 부산?경남권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투자와 협력을 확대해 지역산 업과 상생하는 항만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항만공사는 2019년부터 부산항 인프라 및 사업장 관리의 효율 성을 높이기 위해 ‘위성과 드론을 활용한 시설물 모니터링과 비즈니스 활용모델’을 국가 연구개발 과제로 수행하고 있다. 끝.

붙 임 : 참고자료(사업개요 및 부산항 드론 활용 사례) 1부. 끝.

[참고자료] 항만시설관리를 위한 로봇자동화 기반 무인항공체 스테이션 개발

□ 사업개요

사업기간 : 2021. 10 ~ 2023. 9(3년간)

사 업 비 : 810백만원(국 360, BPA 360, 민간 90)

컨소시엄 : 에스에이치로보틱스,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스테이션 예상도(안)

<로봇자동화시스템 작동 프로세서>

로봇자동화시스템 프로세서 절차 : ① 드론착륙 → 착륙장 도어열림 or ② 드론 위치인식 → 착륙장 도어닫힘(→ 공조장치 가동) or ③ 드론 이송 → ④ 배터리분리 → ⑤ 배터리충전 → ⑥ 배터리 이송 → ⑦ 배터리장착 및 보관 → ⑧ 이륙준비 → 공조장치 정지(→ 착륙장 도어열림) or ⑨ 이륙 → 착륙장 도어닫힘

[참고자료2] 항만시설물 관리업무 드론활용 사례(안)

□ 드론을 활용하여 시설물 점검이력 디지털화

(Google earth) 신항 7부두 디지털화 전, 신항 7부두 디지털화 후, (원형부분 확대) 신항 7부두 디지털화 전, 신항 7부두 디지털화 후

정사영상화를 통해 균열, 파손 등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어 시설점검 이력 디지털화

※ 정사영상이란? - 항공사진 또는 인공위성 등의 영상정보 등에 대하여 높이차나 기울어짐 등 지형 기복에 의한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고 모든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 보았을 때의 모습으로 변환하는 영상

□ 시설물 안전관리 및 절토사면 물량 등 수치화

욕망산 절토사면 드론촬영 사진, 3D Modeling

□ Deep Learning을 이용한 부두상부 균열분석 및 유지보수

(청학안벽) 머신러닝(Edge detection)을 이용한 균열 탐지 및 분석

□ 3D 기술을 적용한 항만시설물 디지털 입체화 관리

부산항만공사 사옥의 3D 맵핑을 통한 디지털 입체화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담당자 :
국민소통부
연락처 연락처 :
051-999-3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