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이하 'BPA', 사장 강준석)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부산항 이용 고객들의 현황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긴급 간담회를 28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 5층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부산항 이용 선사, 수산업계, 물류기업 대표 등 10여 개 업체에서 참석했다.
부산항-러시아 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21년 기준 약 83만TEU로 중국, 미 국, 일본 다음으로 많다. 부산항과 러시아 간 환적 물동량은 지난 5년간 연속 증가했고, 2020년 이후 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35%에 이른다.
* (국가별 물동량 및 비중) 중국 630만TEU(28%), 미국 330만TEU(15%), 일본 291만(13%), 러시아 83 만(4%)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물류대란 장기화로 해상운임이 폭등하자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화물들이 바닷길 대신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이용 하면서 TSR 연계 복합운송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일본발 유럽향 화물을 부산항에서 환적 후 러시아 TSR로 복합운송하면 해상으로 운송할 때보다 최소 일이 단축되고 16 , 비용 측면에서도 해상운송이나 항공운송보다 경쟁력이 있다.
* (TSR 운임) 코로나 이전 약 7,000$/FEU, 코로나 이후 약 2배 상승(약 12,000불/FEU)
** (해상 운임) 코로나 이전 아시아발 유럽향 약 2,000~3,000$/FEU, 코로나 이후 약 6배 상승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해 러시아로 향하는 화물 선적예약이 잇따라 취소되며 극동 러시아를 기항하는 일부 선사들이 정기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 유럽 인근 상트페테르부르크항(러시아 최대항만)과 흑해 연안의 노보르시스크항을 기항하는 정기노선은 전면 중단됨
3월 현재 부산항의 극동러시아 정기노선은 당초 15개에서 5개가 줄어, 10개 정기노선만 운영 중이다.
* 최근 4개 선사가 운항을 중단해 6개 선사(외국적 4개사, 국적 2개사)가 운영 중임
정기노선을 중단한 선사들은 해당 노선 운항을 잠정 중단했지만, 향후 공 컨 테이너 회수 및 부산항에 임시 장치된 화물과 추가 물량 운송을 위해 Spot 형태로 임시 선박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산업의 경우, 한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연간 1.5조원에 이르며, 감천항 수산물 하역물량의 약 70%(약 91만톤)가 러시아산 냉동 수산물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러시아 선박·화물에 대한 제재 조치는 관련 업계의 경영악화뿐 만 아니라 물류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므로, 정부와 유관기관이 EU의 러시아 선박 입항 금지와 같은 강력한 對 러 제재 조치에 신중하게 접근할 것을 요청했다.
* EU의 사전 예고 없는 對러 제재 조치(러시아 선박 및 화물 제재)로 인해 러시아 화물이 유럽 허브 항만에 임시 하역되며 물류 혼란이 가중된 바 있음
강준석 BPA 사장은"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운·물류 업 계 전반에서 경영여건 악화가 예상된다"며 "업계의 애로를 파악하고 건의사항 을 수렴해 부산항 이용고객들이 러시아 연관 사업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 관련사진 2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