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 사장 강준석)는 11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부산항 컨테이너 물류 관련 업·단체와 ‘항만물류통합플랫폼(체인포털) 활성 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항과 북항의 10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한국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 운송위원회, 화물연대 컨테이너위수탁본부가 협약에 참여했다.
협약의 주된 내용은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협조 ▲각 업·단체 소속 이용자 대상 홍보 및 안내 ▲관련 데이터 공유 등이다.
BPA는 이원화된 신항과 북항의 다수 터미널 운영사 체제로 인한 타부두 간 환적화물 이동, 이로 인한 항만 생산성 저하, 글로벌 물류대란 발생 시 장치율 급증 등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2018년부터 항만물류통합플랫폼 개발 에 나서 4년 만에 구축을 완료했다.
이 통합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VBS, Vehicle Booking System), 환적운송시스템(TSS, Transshipment Shuttle System), 통합정보조회서비스(IIS,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등 3 가지이다.
BPA는 통합플랫폼이 터미널 생산성을 높이고, 운송사의 배차효율을 증대 하며, 운송기사들의 터미널 내 대기시간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은 국내최초로 도입한 것으로, 터미널 도착 시간 을 예약한 운송사와 운송기사의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터미널운영사는 사전에 예약한 화물의 위치 조정 등을 통해 예약 차량에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환적운송시스템'은 복수의 차량과 화물에 대한 운송 요청을 한 번에 전송 하는 그룹오더 기능을 통해 부산항의 묵은 과제였던 타부두 간 환적화물 이 동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스템은 오는 10월에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통합정보조회서비스'는 부산항 전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보를 모두 취합 해 싱글 윈도*(*단일창구를 통한 정보제공)로 보여주는 서비스로, 부산항 이 용자들에게 한층 높은 수준의 정보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 로 BPA는 기대한다.
강준석 BPA 사장은 "부산항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수많은 협의 절차를 거쳐 이용자들의 요청사항을 반영한 끝에 완성한 만큼 항만 물류 사에 큰 획을 긋는 획기적인 시스템이 될 것"이라며 "항만물류통합플랫폼 사업의 성패는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달려있는 만큼 이용자 맞춤형 홍보 활동을 체계적으로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붙 임 : 사진자료 2부.
* (사진 설명) 왼쪽부터, 최득선 ㈜비엔씨티 대표, 윤상건 HMMPSA신항만㈜ 대표, 김규경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 대표, 김명후 부산신항만㈜ 대표, 이 석 부산신항 국제터미널㈜ 대표, 정영식 한국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운송위원 회 위원장, 강준석 BPA 사장, 이정행 부산항터미널㈜ 대표, 정호수 한국허치 슨터미널㈜ 대표, 안영복 동원부산컨테이너터미널㈜ 대표, 홍민철 화물연대 컨테이너위수탁본부 사무국장, 이재훈 ㈜부산컨테이너터미널 운영본부장